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etch
- 지연로딩
- 이진탐색
- querydsl
- 유니크제약조건
- 연관관계
- BOJ
- FetchType
- 다대일
- dfs
- 스토어드 프로시저
- 연결리스트
- execute
- 즉시로딩
- shared lock
- CHECK OPTION
- 비관적락
- 일대다
- 낙관적락
- 데코레이터
- 힙
- exclusive lock
- SQL프로그래밍
- 스프링 폼
- 백트래킹
- eager
- 동적sql
- 다대다
- PS
- JPQL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26)
흰 스타렉스에서 내가 내리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Object.freeze() 메서드는 객체를 동결합니다. 동결된 객체는 더 이상 변경될 수 없습니다. 즉, 동결된 객체는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거나 존재하는 속성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며 존재하는 속성의 불변성, 설정 가능성(configurability), 작성 가능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존재하는 속성의 값이 변경되는 것도 방지합니다. 또한, 동결 객체는 그 프로토타입이 변경되는것도 방지합니다. freeze()는 전달된 동일한 객체를 반환합니다. const obj = { prop: 42 }; Object.freeze(obj); obj.prop = 33; // Throws an error in strict mode console.log(obj.prop); // expected output: 42 출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x6FD/btrq11SODuS/m5ahXuzkixx7psOKt2HBvK/img.png)
호이스팅(hoisting) : 변수를 어디서 선언했는지 상관없이 항상 제일 위로 선언을 끌어올려 주는 것을 말한다. var 타입은 선언하기도 전에 변수에 접근해도 undefined만 뜨지 에러가 나지 않는다. 호이스팅 덕분. let과 const타입은 선업 전에 변수에 접근하면 error가 난다. var은 블록스코프를 무시한다. 블록스코프에서 선언하더라도 아무데서나 접근할 수 있다. let과 const 타입으로 지정된 변수는 블록스코프에서 선언 하였을 때 블록 밖에서 사용하지 못한다. let은 변수 할당 뒤에도 값 변경이 가능하다. const는 선언과 동시에 값 할당을 해야하며, 할당 이후에는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const로 object를 할당한다면? object 자체는 변경할 수 없지만, obj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