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xclusive lock
- 연관관계
- SQL프로그래밍
- eager
- 동적sql
- execute
- querydsl
- 다대다
- 지연로딩
- 데코레이터
- 스프링 폼
- 연결리스트
- BOJ
- shared lock
- PS
- 일대다
- FetchType
- fetch
- 힙
- CHECK OPTION
- 이진탐색
- JPQL
- 즉시로딩
- 백트래킹
- 다대일
- 낙관적락
- 유니크제약조건
- 스토어드 프로시저
- dfs
- 비관적락
- Today
- Total
목록AWS (65)
흰 스타렉스에서 내가 내리지

각각의 리전은 이중화 되어있는 100G급의 AWS 자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리전 간에 고속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각 AWS 리전은 지리적 영역 내에서 최소 3개의 독립적인 가용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가용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센터로 구성된다. 즉, 데이터센터가 모여서 하나의 가용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가용영역이 모여 하나의 리전으로 구성된다. 현재 서울 리전은 4개의 가용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용영역이란 다른 가용영역과 완전히 격리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의미한다. 한 가용영역에는 충분한 물리적 거리를 두어 특정 가용영역에서 발생한 재난 상황이 다른 가용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각 가용영역들은 독립된 전력 및 낸각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각 가용영..

동일한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를 '리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서울 리전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의 모음이다. AWS에서는 이런 리전에 있는 물리적 서버를 가상화하여 여러 개로 나누어 서비스하고 있다. 하이퍼바이저라고 하는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을 통해, 물리적 호스트를 여러 개의 게스트로 나누게 되고, 우리는 이것을 EC2 인스턴스라고 말한다. 리눅스, 윈도우즈, 맥과 같은 OS 지원 물리적 호스트 전체를 그대로 이용하는 베어메탈 서비스와 디스크,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우리의 워크로드에 맞는 다양한 인스턴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구매 옵션으로 비용 절감에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는 EC2를 사용하기 위해서 기존 물리 서버처럼 필요..

@Api(tags = "Second")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second")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layerController { private final AmazonDynamoDBClient amazonDynamoDBClient; private final PlayerRepository playerRepository; @PostMapping("/player") public String registerPlayer(@RequestBody Player player){ System.out.println(player.getId()+ player.getName()); Player newPlayer = new Player(play..

ECS(Elastic Container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로 여러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를 쉽고 빠르게 실행하고,컨테이너를 적절하게 분배 및 확장 & 축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비슷한 서비스로 Docker의 Docker Swarm, 구글의 Kubernetes, 하시코프의 Nomad등이 있다. Googel의 쿠버네티스에 비해 다소 오케스트레이션에 부족한 기능들도 있지만, ECS에서 제공해주는 정도의 수준만 필요한 경우라면 비용적인 부분이나, 다른 오케스트레이션에 비해 비교적 적은 학습 시간으로 빠르게 여러분들의 서비스를 ECS로 적용할 수 있다. # 구성요소 1. 클러스터 Amazon ECS의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는 논리적인 공간. ECS의 ..

amazon linux ssh 비밀번호 변경username : ec2-userpassword 바꾸기 :https://repost.aws/ko/knowledge-center/rds-connect-ec2-bastion-host Amazon EC2를 사용하여 프라이빗 RDS DB 인스턴스에 로컬로 연결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인스턴스를 Bastion(점프) 호스트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런 다음,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프라이빗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RDS) DB 인스턴스에 연repost.aws EC2 인스턴스 시작 및 구성1. Amazon EC2 콘솔을 연 다음 인스턴스 시작을 선택합니다.2. A..
sudo yum install git -y

1. 목적지가 될 대상. 인터넷과 통신할 것이므로 0.0.0.0/0 으로 지정해준다. 2. 타켓이 될 대상이다. Internet Gateway를 선택한 후 내가 만든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지정해준다. 0.0.0.0/0 은 10.0.0.0/16 을 제외한 나머지 IP들은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보내라는 의미이다. 내가 만든 서브넷 하나를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해 서브넷 연결 편집을 클릭한다.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의 구분은 IGW를 연결했냐 안했냐로 구분할 수 있다. subnet01을 퍼블릿 서브넷으로 만들 것이므로 선택하여 라우팅 테이블과 연결해준다. EC2 인스턴스를 2개 만든 후 각각 퍼블릭은 웹서버, 프라이빗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쓰일 수 있다.

CI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 코드 버전 관리를 하는 VCS 시스템 (Git, SVN 등)에 PUSH가 되면 자동으로 테스트와 빌드가 수행되어 안정적인 배포 파일을 만드는 과정 CD (Continuous Deployment - 지속적인 배포) 이 빌드 결과를 자동으로 운영 서버에 무중단 배포까지 진행되는 과정 지속적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 프로젝트가 완전한 상태임을 보장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가 구현되어 있어야만 한다. Travis CI 연동하기 Travis CI는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무료 CI 서비스이다. 젠킨스와 같은 CI 도구도 있지만, 젠킨스는 설치형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EC2 인스턴스가 하나 더 필요하다. 배포를 위한 EC2 인스턴스는 부담스럽기 때..

JPA가 사용될 엔티티 테이블과 스프링 세션이 사용될 테이블 2가지 종류를 생성하자. JPA가 사용할 테이블은 테스트 코드 수행 시 로그로 생성되는 쿼리를 사용. 스프링 세션 테이블은 schema-mysql.sql 파일에서 확인한다. FIle 검색 [Command+Shift+O] schema-mysql.sql 에서 긁어와서 RDS에 적용 스키마 생성확인 build.gradle 에 mariaDB 의존성 추가 implementation '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 서버에서 구동될 환경을 하나 구성한다. application-real.yml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에는 실서버의 mariaDB 정보가 들어간다. application-real.yml 로 파일을 만들면, pr..

github에는 업로드되지 않은 설정파일들을 생성, 붙여넣기 vim /home/ec2-user/app/application-oauth.yml vim /home/ec2-user/app/application.yml shell 파일 생성 vim ~/app/step1/deploy.sh #!/bin/bash REPOSITORY=/home/ec2-user #1 PROJECT_NAME=termterm-BE cd $REPOSITORY/$PROJECT_NAME/ #2 echo "> git pull 시작" git pull echo "> 프로젝트 build 시작" ./gradlew build --exclude-task test #4 echo ">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REPOSITORY echo "> Build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