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낙관적락
- dfs
- 스토어드 프로시저
- 스프링 폼
- 데코레이터
- shared lock
- querydsl
- 다대일
- fetch
- 연결리스트
- JPQL
- 연관관계
- execute
- 일대다
- CHECK OPTION
- FetchType
- SQL프로그래밍
- 지연로딩
- 유니크제약조건
- 즉시로딩
- eager
- 힙
- 비관적락
- exclusive lock
- 이진탐색
- 백트래킹
- 다대다
- 동적sql
- BOJ
- P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55)
흰 스타렉스에서 내가 내리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I0j9/btsyUQjPIfD/LFpsKCkbWmVEziUSkxhl1K/img.png)
# 1 -6 RDB Functionalities # Views - 뷰는 특정 사요자로부터 특정 속성을 숨기는 기능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일부를 특정 사용자에게 숨김 - 뷰 사용목적은 주로 데이터 보호 * View Definition - "CREATE VIEW" * Views are always up to date - 뷰는 항상 최신 데이터를 보유한다. - 뷰는 일반 테이블과 다르게 튜플을 실제 뷰 내부에 저장하지 않는다. * Views Using Other Viwes - 뷰를 정의할 때 베이스테이블이나 또는 다른 뷰를 사용할 수 있다. * View Expansion - 뷰에 대한 질의가 들어오면, 해당 뷰를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뷰 정의로 치환하여 뷰가 아닌 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질의문이 되도록 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8uQrG/btsx3MvbbS0/uxKGnOhh4SNfN92AWQn1T1/img.png)
프로젝트 폴더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빌드를 시작한다. ./gradlew clean build 이후 프로젝트 폴더에서 ./build/libs 폴더로 들어가면, boot-0.0.1-SNAPSHOT.jar 파일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빌드된 jar 파일을 아래 명령어로 실행을 하면, 우리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다. java -jar boot-0.0.1-SNAPSHOT.jar ++백그라운드 실행nohup java -jar boot-0.0.1-SNAPSHOT.jar & ++아까 폴더에 boot-0.0.1-SNAPSHOT-plain.jar 파일도 있었는데, 이는 우리가 개발한 코드만 순수한 Jar로 빌드한 것이라 무시하면 된다. 그냥 boot-0.0.1-SNAPS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AJ4Q/btsxie7VrxG/FOkOdHseLOMd0FL9ghDqg0/img.png)
sudo yum install stress sudo yum install httpd-tools ab -n 400 -c 1 http://~~~.com -n : 총 요청할 횟수 -c : 동시 요청 수 (동시 요청수는 당연히 총 요청할 횟수를 초과하지 못함)
#cloud-config packages: - docker runcmd: - [ sh, -c, "usermod -aG docker ec2-user" ] - sudo service docker start - sudo docker run -d -p 80:80 --restart=always {ㅇㅇ}/{ㅇㅇ}:{태그} -v /etc/localtime:/etc/localtime:ro -e TZ=Asia/Seou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GKZK/btsxqxSXAJD/f2EAA6zCHllxcKAGs63vD1/img.png)
AWS 로드밸런서를 이용해 https 를 적용한 내 도메인을 노션으로 리다이렉션 시킨다. 로드밸런서로 들어가, https 의 규칙을 추가한다. http도 동일하게 진행하면 된다. '전체 URL' 부분에 리다이렉트할 게시된 우리의 노션 사이트를 삽입한다. 리스너 규칙은 크게 중요한건 아니다. 이제 route53으로 가서 도메인을 연결한다. 별칭을 설정하고, 로드밸런서를 지정해주면, 리다이렉트가 잘 될것이다.
ㅇㄴㄹ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yXTq/btsvMTP7x9S/jqiKhgfHjYKVlCDkZSSjEk/img.png)
# 01 Introduction 정보보안이란 무엇인가? Preservation of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other properties, such as authenticity, accountability, non-repudiation and reliability can also be involved.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의 보존. 또한, 진정성, 책임, 부인 불가 및 신뢰성과 같은 기타 속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CIA :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 Authentication :: 인증 : Am I really talking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5LMB/btsuRIboGhD/jLmNxvUdzKlscRAMqZtAXK/img.png)
>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 Serverless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모든 람다마다 DB 커넥션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오버헤드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고민하기 시작했다. 세션 정보 혹은 state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보관하게 할 순 없을까? 라고 생각했다. 그럼 클라이언트가 그걸 보관하고 있다가 요청해서 주기만 하면, 람다는 그거대로 처리만 하면 되니까. 외부 스토리지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하나의 로직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럼 문제가 뭘까? 클라이언트는 항상 변조가 가능하다. 내가 유저 등급 1인데, 10으로 바꿨어. 그럼 람다 입장에서는 그걸 그대로 믿는다.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그 정보를 보관한다면 그걸 검증할 수 있는 로직이 필요하다. 그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jwt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bm6Jh/btsuShEPW3h/qCFR2uJkKGK4mVh2vJz6qK/img.png)
Amazon Lambda를 사용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Amazon API Gateway는 어떤 규모에서든 개발자가 API를 손쉽게 생성, 게시, 유지 관리, 모니터링 및 보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PI는 애플리케이션이 백엔드 서비스의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또는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정문' 역할을 합니다. API Gateway를 사용하면 실시간 양방향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RESTful API 및 WebSocket API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API Gateway는 컨테이너식 서버리스 워크로드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 API Gateway - AWS의 서비스 및 외부 서비스를 위한 API를 생성/관리해주는 서비스 - HTTP/We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G3hL/btsuJdcgHxP/zZlsTRkAIxi79c3pN1KqwK/img.png)
> Serverless - 서버의 관리와 프로비전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OnDemand) - 고가용성과 장애 내구성이 확보되어 있음 - 빠르게 배포하고 업데이트 가능 - Serverless 환경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필요 - 병렬 처리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등 > AWS Lambda "AWS Lambda는 서버를 프로비저닝 또는 관리하지 않고도 실제로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 200개가 넘는 AWS 서비스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aaS) 애플리케이션에서 Lambda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됩니다." - AWS의 Serverless 컴퓨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