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유니크제약조건
- shared lock
- 다대다
- fetch
- 백트래킹
- 이진탐색
- 즉시로딩
- 연관관계
- 다대일
- 데코레이터
- 힙
- 스프링 폼
- eager
- JPQL
- exclusive lock
- CHECK OPTION
- querydsl
- BOJ
- execute
- 낙관적락
- dfs
- FetchType
- 지연로딩
- PS
- 비관적락
- 연결리스트
- SQL프로그래밍
- 스토어드 프로시저
- 일대다
- 동적sql
Archives
- Today
- Total
흰 스타렉스에서 내가 내리지
[자료구조] 큐와 원형 큐 (Queue, Circular Queue) 본문
728x90
Queue
class Queue:
def __init__(self):
self.container = list()
def is_empty(self):
if not self.container: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enqueue(self, data):
self.container.append(data)
# O(n)
def dequeue(self):
return self.container.pop(0)
def peek(self):
return self.container[0]
큐의 주요 특징 : FIFO (First In First Out)
enqueue() 연산은 배열의 마지막에 원소를 추가하므로 시간복잡도가 O(1)인 반면, dequeue() 연산은 동적 배열의 첫 번째 데이터를 삭제한 후 모든 데이터를 한 번씩 옮겨야 하므로 O(n)이 된다.
Circular Queue
class CircularQueue:
MAXSIZE = 10
def __init__(self):
self.container = [None for _ in range(CircularQueue.MAXSIZE)]
self.front = 0
self.rear = 0
def is_empty(self):
if self.front == self.rear: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__step_forward(self, x):
x += 1
if x >= CircularQueue.MAXSIZE:
x = 0
return x
def is_full(self):
next = self.__step_forward(self.rear)
if next == self.front: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enqueue(self, data):
if self.is_full():
raise Exception("The queue is full")
self.container[self.rear] = data
self.rear = self.__step_forward(self.rear)
def dequeue(self):
if self.is_empty():
raise Exception("The queue is empty")
ret = self.container[self.front]
self.front = self.__step_forward(self.front)
return ret
def peek(self):
if self.is_empty():
raise Exception("The queue is empty")
return self.container[self.front]
cq = CircularQueue()
for i in range(8):
cq.enqueue(i)
for i in range(5):
print(cq.dequeue(), end=' ')
for i in range(8, 14):
cq.enqueue(i)
while not cq.is_empty():
print(cq.dequeue(), end=' ')
print()
for i in range(10):
print(cq.container[i], end= ' ')
print()
# 결과
#
#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10 11 12 13 4 5 6 7 8 9
Queue()는 dequeue 연산마다 모든 데이터를 한 번씩 이동시켰는데, CircularQueue는 데이터를 모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front를 뒤로 한 번만 이동시킨다.
큐는 어디에 쓰이는가?
OS는 태스크 큐를 이용하여 스케쥴링을 한다. 컴퓨터는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데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CPU는 제한적이다. 이 때 OS는 프로그램에서 작업을 요청받아 이를 큐에 담은 후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큐에서 태스크를 꺼내 실행한다. 이렇게 실행할 작업 순서를 정하는 것을 스케줄링이라고 한다.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구조]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0) | 2022.01.02 |
---|---|
[자료구조] 트리에서의 4가지 순회 방법 (0) | 2022.01.02 |
[자료구조] 더미 이중 연결 리스트 (Dummy Double Linked List) (0) | 2022.01.01 |
[자료구조] 스택 (Stack) (0) | 2022.01.01 |
[자료구조] 동적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 (0) | 2022.01.01 |